한국사/한능검 기출문제

[한국사 기출문제] 선사시대 심화 기출문제 정답과 해설

박또니 2020. 6. 29. 20:40
반응형

 

 

해당 페이지는 그동안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출제 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기출문제 중 선사시대에 해당하는 문제 일부를 모아 놓았습니다. 2회에서 13회까지의 기출문제는 현재의 기출문제 출제 경향과 많이 달라 제외하였습니다. 공식 사이트인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최근 15회차의 기출문제를 온라인에서 풀어볼 수 있는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를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정리한 문제를 통해 문제 유형 파악에 도움되시기를 바라며, 틀린 부분이나 오타가 있을 경우 댓글 부탁 드립니다. 오늘도 화이팅하세요!

 

※ 제 1회 시험은 고급(1급과 2급)시험이 없습니다. 2회에서 13회까지의 문제 난이도는 공무원 한국사라고 말해도 될 정도로 상당히 난이도가 있는 편입니다. 최근 한국사 기출문제 출제 경향은 2018년 이후의 기출문제 난이도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사시대 문제는 최근 기출문제 비중에서 회차 당 한 문제 정도 반드시 출제되고 있습니다.

 


 

2024년도

제 7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②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③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④ 호미,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제작하였다.
⑤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처음 제작하였다.

 

[정답]
②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해설] 

청동기 시대의 생활모습을 찾는 문제로

①  구석기,  ③ 신석기, ④ 철기 시대 모습이다. 

 

 


 

2024년도

제 7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살았다.
② 청동 방울 등을 의례 도구로 사용하였다.
③ 따비와 괭이로 땅을 갈아 농사를 지었다.
④ 거푸집을 이용하여 세형동검을 제작하였다.
⑤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

 

[정답]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살았다.

[해설]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문제로

② 청동기, ⑤ 신석기, 철기 시대 모습이다.

 


 

2024년도

제 7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철제 무기로 정복 활동을 벌였다.
② 오수전, 화천 등의 중국 화폐로 교역하였다.
③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④ 주로 동굴이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거주하였다.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사용하여 옷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정답]
③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해설] 

청동시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철기, ④ 구석기, 신석기 시대 모습이다.

 

 


 

2024년도

제 69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②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 거주하였다.
③ 가락바퀴와 뼈바늘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④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⑤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처음 제작하였다.

 

[정답]
③ 가락바퀴와 뼈바늘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해설] 

신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청동기, 구석기 시대 모습이다.

 

 


 

2023년도

제 68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하였다.
② 소를 이용하여 깊이갈이를 하였다.
③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④ 오수전, 화천 등의 중국 화폐로 교역하였다.
⑤ 옷을 만들 때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정답]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하였다.

[해설] 

청동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철기, 구석기, 신석기 시대 모습이다.

 


 

2023년도

제 67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철제 무기로 정복 활동을 벌였다.
②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③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④ 비파형 동검과 거울 등을 제작하였다.
⑤ 빗살무늬 토기에 음식을 저장학 시작하였다.

 

[정답]
④ 비파형 동검과 거울 등을 제작하였다.

[해설] 

청동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철기,  구석기,  신석기 시대 모습이다.

 


 

2023년도

제 66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하였다.
②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③ 반량전, 명도전 등 화폐를 사용하였다.
④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

 

[정답]
②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해설]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청동기,  철기,  신석기 시대 모습이다.

 

 


 

2023년도

제 6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밑줄 그은 '이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②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③ 실을 뽑기 위해 가락바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④ 쟁기,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가 이용되었다.
⑤ 주로 동굴이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거주하였다.

 

[정답]
②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해설] 

청동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철기,  신석기,  구석기 시대 모습이다.

 


 

2023년도

제 6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밑줄 그은 '이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② 반량전, 명도전 등의 화폐를 사용하였다.
③ 청동 방울 등을 의례 도구로 이용하였다.
④ 거푸집을 이용하여 세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

 

[정답]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

[해설] 

신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철기, ③ 청동시대 모습이다.

 


 

2023년도

제 6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밑줄 그은 '이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소를 이용하여 깊이갈이를 하였다.
② 빗살무늬 토기에 식량을 저장하였다.
③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만들었다.
④ 거푸집을 사용하여 세형동검을 제작하였다.
⑤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정답]
⑤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해설] 

구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철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 모습이다.

 


 

2022년도

제 6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하였다.
②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③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④ 호미,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제작하였다.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정답]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하였다.

[해설] 

청동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구석기, 철기,  ⑤ 신석기 시대 모습이다.

 

 


 

2022년도

제 6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 거주하였다.
② 고인돌, 돌널무덤 등을 축조하였다.
③ 명도전을 이용하여 중국과 교역하였다.
④ 농경과 목축을 통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⑤ 비파형 동검과 거친무늬 거울 등을 제작하였다.

 

[정답]
④ 농경과 목축을 통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해설] 

신석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구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 모습이다.

 

 


 

2022년도

제 6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1번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소를 이용하여 깊이갈이를 하였다.
②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 살았다.
③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하였다.
④ 빗살무늬 토기를 제작하여 식량을 저장하였다.
⑤ 주먹도끼, 찍개 등 뗀석기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정답]
③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하였다.

[해설] 

청동기 시대의 생활 모습을 찾는 것으로

 철기,  구석기, 신석기 시대 모습이다.

 

 


 

 

 

선사 시대 문제의 경우 문제를 풀다 보면 최근 출제 패턴이 보이기 때문에 조금만 풀어봐도 쉽게 정답을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가 다소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실수하지 않도록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최근 출제 경향은 아니지만 이전 출제된 심화 문제 중  다른 유형의 문제 몇 개를 가져왔으니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2016년도

제 3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심화)  1번

 

1. 다음 전시회에 전시될 유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점]

[정답]
  ㄱ, ㄴ

[해설] 

배경 그림의 움집과 농경 시작이라는 문구를 통해 신석기 시대의 유물을 고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ㄱ은 갈판과 갈돌이고, ㄴ은 가락바퀴로 둘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이다.


ㄷ. 미송리식 토기(청동기 시대 유물)
ㄹ. 비파형 동검(청동기 시대 유물)

 

 

 

 


 

2015년도

제 26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심화)  1번

 

1. 다음 자료의 집터가 처음 만들어졌던 시대의 모습으로 옳은 것은? [2점]

 

거친무늬 거울을 사용하였다.
② 지배자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만들었다.
③ 거푸집을 활용하여 청동기를 제작하였다.
④ 금속제 무기를 사용하여 정복 활동을 벌였다.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

 

[정답]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

[해설] 

중앙 화덕의 집터, 강가나 해안가에서 발견 등의 내용으로 보아 해당 집터는 신석기 시대의 움집임을 알 수 있다. 

청동기, 철기 시기에 해당된다.

 


  

2011년도

제 1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심화)  1번

 

1. 밑줄 그은 '흥수 아이'가 살던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점]

 

 가락바퀴, 뼈바늘을 사용하였다.
②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다.
③ 반달 돌칼로 곡식의 이삭을 잘랐다.
④ 사람이 죽으면 독에 넣어 매장하였다.
⑤ 토테미즘, 샤머니즘과 같은 원시 신앙을 믿었다.

 

[정답]
②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다.

[해설] 

흥수 아이는 구석기 시대 유골이다. 구석기 시대에는 동굴과 강가 막집에 거주하며, 무리 이동 생활을 하던 평등한 사회였다. 뗀석기로는 주먹 도끼가 있고 뼈도구나 긁개 또는 밀개로 조리를 했다.

신석기, ③ 청동기,  철기 시기에 해당된다.

 


 

2010년도

제 1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심화)  4번

 

4. 다음 무덤 양식이 등장한 시기의 새로운 변화로 옳은 것은? [1점]

 

 영혼 숭배와 샤머니즘의 대두
② 돌괭이를 이용한 농경의 시작
③ 철제 공구와 철제 무기의 등장
④ 빗살무늬 토기를 이용한 식량의 저장
⑤ 동검과 동경을 착용한 제사장의 등장

 

[정답]
③ 철제 공구와 철제 무기의 등장

[해설] 

독무덤과 널무덤은 철기 시대의 무덤 양식이다. 철기 시대에 와서야 철제 공구와 철제 무기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신석기, 청동기 시기에 해당된다.

 


 

2009년도

제 7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심화)  1번

 

1. 다음 토기들을 제작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2점]

 

[정답]
(나) → (가) → (다) → (라)

[해설] 

(가)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 토기, (나) 신석기 시대의 덧무늬 토기 (다) 청동기 시대 미송리식 토기 (라) 신라 토기. 신석기 시대 토기는 이른 민무늬 토기 > 덧무늬 토기 > 빗살무늬 토기 순서로 발전했으므로 정답은 ③번이다.

 


 

 

※ 위 이미지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시험 자료실 PDF 파일을 사용했습니다. 사용된 사진 등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사시대 공부 다시 하러! 한국사 요약정리 바로 가기 >

 

[한국사 요약정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선사시대(구석기 ~ 철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을 준비하면서 정리한 자료들입니다. 앞으로 시험을 준비하면서 공부한 자료를 블로그에 정리해 선사시대부터 현대사회까지 요점정리한 내용을 업로드할 예정이니 한

parksunn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