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한능검 요약정리

[한국사 참고자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우리나라 세시풍속 정리

박또니 2019. 8. 10. 01:41
반응형

 

 

 

세시풍속은 매년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는 아니지만 고득점을 위해서는 알아두면 좋은 파트입니다. 세시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전통 의례입니다. 태양태음력(음력을 중심으로 양력을 보완한 달력)을 기준으로 하며, 고대 제천 의례를 바탕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풍속으로 전해져 왔습니다. 오늘날엔 전통적인 세시풍속이 많이 퇴색되었지만 설날, 추석, 차례, 성묘 등 일부 풍속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 4대 명절 : 설날(음력 1월 1일), 한식(4월 5일 경), 단오(음력 5월 5일), 추석(음력 8월 15일)

※ 우리나라 사계절은 음력을 기준 3개월 단위 봄(음력 정월~3월), 여름(음력 4월~6월), 가을(음력 7월~9월), 겨울(음력 10월 12월)로 나눠진다.

 

세시풍속 관련 기출문제

<실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세시풍속 관련 문제 중> 

 

이미지 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문제지

반응형

 

우리나라의 세시 풍속

 

세시풍속 날짜(음력) 주요 풍습
설날 1일 1일 차례, 세배, 떡국(나이먹기 풍습), 윷놀이, 설빔, 연날리기
정월대보름 1월 15일 부럼깨기, 오곡밥, 지신밟기, 귀밝이술, 놋다리밟기, 쥐불놀이, 달집태우기
(액막이 풍속)
한식 동지 후
105일 째
활쏘기, 머리감기, 각시놀음, 화전, 국수, 쑥떡 먹기, 강남 갔던 제비가 오는 날
(봄을 기리는 명절)
삼짇날
(답청절)
3월 3일 성묘, 그네뛰기, 불 사용을 금지하고 찬 음식을 먹는 날
초파일
(석가탄신일)
4월 8일 연등 달기, 욕불 행사, 만석중 놀이, 미나리와 느티떡, 검은콩 먹기
단오
(수릿날, 천중절)
5월 5일 강릉 단오굿, 창포에 머리 감기, 그네뛰기, 씨름, 봉산 탈춤, 수리취떡, 쑥떡, 앵두 화채 먹기
유두절 6월 15일 폭포에 가서 목욕 하기, 수단 만들기
칠석 7월 7일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 오작교, 칠석 놀이, 햇볕에 옷과 서적을 말리는 풍속, 호박전과 밀전병 먹기, 별을 보며 바느질 솜씨가 좋아지게 해달라고 기원
백중
(머슴날)
7월 15일 여름 휴한기에 휴식을 취하는 날, 백중놀이, 씨름, 호미걸이 등
추석
(한가위)
8월 15일 1년 중 으뜸으로 치는 명절, 수확에 감사하는 날성묘, 차례, 강강술래, 줄다리기, 씨름, 소싸움, 가마싸움, 송편, 토란국 먹기, 가배·가윗날·중추절로도 불림
중양절
(중구)
9월 9일 제비가 강남으로 가는 날, 성묘와 차례, 국화주와 국화전 먹기(장수를 기원)
입동 11월 7일 경 겨울이 시작되는 날, 김장 담그기, 치계미 마련(마을 어르신들에게 음식 대접)
동지 12월 22일 경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동지 팥죽 먹기, 호랑이 장가가는 날
섣달그믐 12월
마지막 날
묵은 세배, 밤 새우기, 대청소, 만둣국 먹기,
새벽 닭이 울 때까지 잠을 자지 않고 새해 맞이 하기(해넘이 행사)

 

 

📌 시험에 잘 나오는 포인트

  • 1월 : 설날(새해), 정월 대보름(액막이)
  • 3월 : 삼짇날(꽃과 쑥으로 봄놀이)
  • 4월 : 한식(찬음식 먹기, 성묘)
  • 5월 : 단오(여성 풍속, 무더위)
  • 6월 : 유두절(여름맞이 목욕, 냉음식으로 몸 식힐 준비)
  • 7월 : 칠석(견우직녀, 바느질) / 백중(농민의 날)
  • 8월 : 추석(수확에 감사, 차례 지내기)
  • 9월 : 중양절(국화, 장수)
  • 11월 : 입동(월동준비 김장)
  • 12월 : 동지(팥죽) / 섣달그믐(묵은해 마무리)

 

📌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 관련 팁

  • 강릉단오제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05)
  • 강강술래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09)
  • 줄다리기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15, 아시아 4개국 공동 등재)

 


 

우리나라 지역사 및 세시풍속 요점정리 완료.

2020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개편에 따른 내용 수정 및 추가

지역사 기출문제 모음 및 정답& 해설 총정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