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한능검 요약정리

[한국사 참고자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인물사 정리

박또니 2019. 8. 23. 00:22
반응형

 

 

 

고대부터 현대까지 중요 인물에 대해서 정리해습니다. 이미 시기별 요약정리에서 각 왕들의 업적은 따로 다뤘기 때문에 본 페이지에서는 왕을 제외한 핵심 인물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본 참고자료는 요약정리를 통해 선행학습이 되어 있어야 인물에 대한 흐름과 관계성에 대해서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기 때문에 시기별 요약정리를 먼저 확인해보신 후 참고자료로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인물사 관련 기출문제

<실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인물사 관련 문제 중> 

 

이미지 출처 : 비법 한국사

 

반응형

 

삼국시대

(고구려 / 백제 / 신라 주요 인물 정리)

 

 

을지문덕(고구려 말기 명장군)

살수대첩(612)에서 수나라 30만 대군 격파

《여수장우중문시》를 통해 수나라 장군 우중문을 농락

神策究天文 신책구천문 (귀신같은 책략은 하늘의 이치를 다했고) 
妙算窮地理 묘산궁지리 (신묘한 계획은 땅의 이치을 다했노라) 
戰勝功旣高 전승공기고 (싸움에 이겨서 그 공이 이미 높으니) 
知足願云止 지족원운지 (만족함을 알고 그만 두기를 바라노라)

 

 

연개소문(고구려 말기 장군이자 정치가)

대막리지로 권력 장악

ㆍ 631년, 당나라 침입에 대비해 국경에 천리장성(요동) 축조

ㆍ 642년, 영류왕을 제거하고 보장왕 옹립

ㆍ 645년, 당 태종의 침입을 막고 안시성 전투에서 대승

 

 

 

김유신(신라의 명장, 삼국 통일의 핵심 인물)

금관가야 왕실의 후손이자 가야계 진골 귀족 

김춘추와 함께 비담의 난(647)을 진압하고 진덕여왕 옹립

태종 무열왕의 사위

황산벌 전투(660)에서 계백을 격파하고 백제 멸망에 기여

고구려 정복(668)에 참여

나당 전쟁 승리 후 삼국 통일 완성(676)에 기여

 

 

계백(백제 말기 장군)

ㆍ출정 전, 처자식을 죽이고 결사항전 결의

 황산벌 전투(660)에서 5천 결사대를 이끌고 신라 김유신과 전투

ㆍ백제 멸망을 막기 위해 끝까지 항전했으나 전사

 

 

 

 

원효(통일 신라의 대표 고승)

6두품 귀족 출신

ㆍ 의상과 당 유학길에 '해골물'을 마신 후 '일체유심조'를 깨닫고 귀국

불교 대중화에 힘씀(무애가 전파)

ㆍ 태종 무열왕의 둘째 딸(요석공주)과 사이에서 설총을 낳음

     ※ 설총 : 이두 문자를 집대성하고 유학 발전에 기여한 학자

ㆍ 일심 사상, 화쟁사상과 아미타 신앙(극랑 정토와 내세 강조)을 전개

《대승기신론소》, 《금강삼매경론》, 《십문화쟁론》등 저술

 

 

의상(통일 신라의 대표 고승)

ㆍ 진골 귀족 출신으로 당에 유학

ㆍ 귀국 후 화엄종을 창시하고 낙산사와 부석사 등 창건

'일즉다 다즉일'의 화엄 사상 정립

ㆍ 불교 교리의 체계화

관음 신앙을 전파하며 현세 구제를 추구

《화엄일승법계도》등 저술

 

 

장보고(통일신라 말기, 해상권을 장악한 무장이자 정치가)

완도 출신의 무장

당나라 군대에 복무하며 군 경험을 쌓음

ㆍ 828년(흥덕왕), 완도에 청해진 설치 > 해상 무역 장악, 해적 방비

ㆍ 당나라에 법화원 설치, 신라인 보호와 무역 활동

ㆍ 846년, 딸을 왕비로 들이려다 귀족의 반발로 실각 >

     장보고의 난(846) > 부하 염장에게 암살

 

 

최치원(통일신라 말기 6두품 출신 유학자)

ㆍ 6두품 출신 귀족

ㆍ 868년(경문왕), 당나라 유학 중 빈공과(과거시험)에 합격

ㆍ 귀국 후 통일신라 말기 개혁 추진

ㆍ 894년, 진성여왕에게 '시무 10조'를 올려 개혁을 건의(실현되지 못함)

ㆍ 유교적 정치 개혁을 주장

《계원필경》(현존 최고 문집), 《토황소격문》, 《사륙집》, 《제왕연대력》 등 저술

 

 

 

고려시대 주요 인물

 

 

최승로(고려 초기 문신)

ㆍ 신라 6두품 출신으로 고려에 등용

ㆍ 성종에게 '시무 28조' 건의

ㆍ 불교 중심 정치 비판, 유교적  개혁안 주장

ㆍ 고려 초기 유저 정치 체제 기틀 마련

 

 

 

 

서희(고려 성종 시기 외교관)

거란의 1차 침입(993) 당시 적장 소손녕과의 외교 담판을 통해

     전쟁 없이 강동 6주 획득(송나라와 외교 단절 조건)

 

 

 

 

 

강감찬(고려 중기 명장)

거란의 3차 침입(1019) 당시 귀주대첩에서 대승

     ※ 현종의 친조 불이행을 구실로 거란의 소배압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 >

     귀주에서 격퇴 > 나성 축조, 천리장성(압록강~도련포) 축조 추진 

 

 

 

 

최충(고려 중기 대표 유학자)

ㆍ 괸직에서 은퇴 후 문헌공도(9재 학당) 설립

국자감보다 더 인기 있던 사학 교육 기관 운영(개경에 사학 12도)

후대 유학자들과 관료 양성에 큰 영향

 

 

 

 

 

의천(왕족 출신의 승려이자 작가, 대각국사)

ㆍ 문종의 넷째 아들이자 숙종의 동생

ㆍ 해동 천태종 창시, 교종 중심의 선종 통합 추진

ㆍ 불교 경전 정리를 위한 교장도감 설치

숙종 때 화폐 사용 주장, 주전도감 설치 건의

     (해동통보, 삼한통보 등 발행)

《신편제종교장총록》등 저술

ㆍ 불교 이론과 실천을 함께 중시하는 교관검수 사상 전개

 

 

지눌(고려 후기 승려, 불일보조국사)

ㆍ 고려 무신집권기 대표 고승

ㆍ 불교 타락을 비판하며 수선사 결사 운동 전개(최충헌의 후원)

조계종 창시, 선종 중심으로 교종 통합

《수심결》등 저술

정혜쌍수, 돈오점수, 교선일치 등 실천 중심의 선종(수행) 강조

 

 

윤관(고려의 문신이자 명장)

ㆍ 숙종 때, 여진족 침입 대비 별무반 조직

ㆍ 예종 때, 여진 정벌 단행 및 동북 9성 축조

     (여진과의 협상으로 자진 반납)

ㆍ 고려의 북방 영토 확장과 군사 개혁에 기여

 

 

 

 

김부식(고려 인종 시기 문신이자 유학자)

ㆍ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을 반대하고 진압(개경파)

ㆍ 인종 때(1145), 《삼국사기》편찬

     ※ 기전체 형식의 사대주의적, 유교적, 신라 중심적으로 서술 

ㆍ 금국 정벌 반대 ↔ (묘청 금국 정벌 주장, 고구려 계승 의식)

ㆍ 현실 개혁보다 보수적 유교 질서 중시

 

 

< 무신 집권기 인물 정리 >

이의방
(무신정변의 주도자)
ㆍ 1170년, 정중부 등과 함께 무신정변 주도
     (문신 제거 > 무신 정권 장악)

ㆍ 1174년, 정중부와 권력을 다투다 정중부에게 피살
정중부
(초기 무신정권의 실권자)
ㆍ 1170년, 이의방, 이고와 함께 무신정변 주도
ㆍ 정변 이후 이의방과 이고를 제거하고 실권 장악
 중방을 권력 기구로 삼아 독재권 행사
ㆍ 1176년, 공주 명학소에서 망이. 망소의 난 발생
경대승
(무신정권의 세 번째 집권자)
ㆍ 1179년, 정중부 사망 후 무신정권의 집권자로 등극
ㆍ 자신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도방(사병 집단) 설치
ㆍ 1182년, 전주 관노의 난 발생
이의민
(무신정권의 네 번째 집권자)
ㆍ 1183년, 경대승 사망 후 권력 장악
ㆍ 천민 출신으로 무신정권 내부에서 반감
ㆍ 1193년, 김사미. 효심의 난 발생(신라 부흥 민란)
ㆍ 1196년, 권력 남용으로 최충헌에게 제거 됨
최충헌
(최씨 무신정권의 시작)
ㆍ 1196년, 이의민을 제거하고 정권 장악
ㆍ 명종에게 '봉사 10조'를 올려 폐정 개혁 주장
ㆍ 희종 즉위 후 교정도감 설치(최고 권력 기구)
ㆍ 정방(인사 기구) 장악
ㆍ 1198년, 만적의 난 발생(신분 해방 요구)
ㆍ 최씨 세습 권력 기반 마련
최우
(최씨 무신정권 2대 집정자)
ㆍ 최충헌 사후 무신정권 세습
정방 설치(인사권 장악)
서방 설치((문신 등용)
ㆍ 고종 때 몽골의 1차 침입(1231) > 강화도 천도(1232)

 

 

김윤후(고려 후기의 승장)

ㆍ 승려 출신으로 대몽 항쟁의 대표적 인물

ㆍ 1232년, 몽골 2차 침입처인성 전투에서 

     몽골 장수 살리타를 사살하고 대승

 

 

 

 

 

안향(고려말 성리학을 도입한 문신이자 유학자)

ㆍ 고려 충렬왕 때, 원나라에서 성리학을 국내 최초로 도입

성균관을 정비하고 유학 교육 강화

ㆍ 이제헌, 정몽주, 권군 등 성리학자들의 학문적 기반 마련

 

 

 

 

 

정몽주(고려말 성리학자이자 고려의 충신)

ㆍ 이색의 제자로 성리학을 완성한 신진사대부

ㆍ 온건파 신진사대부(조선 개창 반대)

ㆍ 1932년, 이방원의 회유를 거절하고 선죽교에서 피살

ㆍ 이방원이 보낸 '하여가'에 맞서 '단심가'로 고려에 대한 충심 표현


 

 

길재(고려말, 조선 초 절의파 유학자)

ㆍ 정몽주의 제자이자 고려의 마지막 충신

ㆍ 온건파 신진사대부

ㆍ 조선 건국을 반대하고 벼슬을 거절한 채 낙향

사림파의 정신적 뿌리

     후대 김종직과 조광조 등 사림세력에 영향을 줌

 

 

 

 

조선  시대 주요 인물

 

 

삼봉 정도전(조선 건국의 설계자)

ㆍ 고려 급진파 신진사대부 출신 유학자

ㆍ 태조 이성계의 책사로 조선 왕조 개창 주도

성리학 중심으로 국가 체제 정비(조선 건국 이념 수립)

 ㆍ 재상 중심 정치 주장 > 1차 왕자의 난(1398) 때 피살  

조선경국전》,경제문감,불씨잡변》등  저술

      ※ 불씨잡변 : 불교 폐단 비판 평론서

 

 

방촌 황희(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세종의 명재상)

ㆍ 태종 ~ 세종 시기 대표적인 훈구파 관료

ㆍ 세종 즉위 후 20년 이상 영의정으로 재직

ㆍ 청백리의 상징

 

 

 

 

 

신숙주(조선 전기 학자이자 문신)

ㆍ 세종 때 집현적 학자로 한글 창제에 참여

ㆍ 계유정난 때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력 > 훈구파로 전환

경국대전》,《동국통감》, 국조오례의편찬에 참여

ㆍ《해동제국기》,《보한재집》등 저술

 

 

 

성삼문(집현전 학자이자 사육신의 한 사람)

ㆍ 세종 때 집현적 학자로 한글 창제에 참여

ㆍ《용비어천가》,《훈민정음 해례본》등 편찬 참여

ㆍ 세조의 단종 폐위에 반발 > 단종 복위 운동 주도(1546)

ㆍ 1456년, 단종 보위 운동 실패 후 사육신으로 처형

    ※ 사육신 :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

 

 

한명회(훈구파의 중심, 세조의 책사)

ㆍ 계유정난(1453) 때 세조의 왕위 찬탈에 적극 협력

ㆍ 세조 즉위 후 공신이자 실세 훈구파로 권력 장악

ㆍ 세조의 아들 예종과 성종의 장인

ㆍ 훈구 정치 대표 인물로 사림 세력과 대립

ㆍ 갑자사화(1504) 때 연산군의 생모 폐사에 관련있다해 부관참시 됨

 

 

김종직(사림의 시조, 무오사화의 빌미 제공자)

ㆍ 성종 때 등용되어 사림파 중심 인물로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 등 역임

'조의제문'을 지어 단종의 죽음을 비판

ㆍ 사후, 문인이 이를 사초에 기록하여 연산군 때 무오사화(1498) 발생의 원인이 됨

ㆍ 이언적, 조광조 등 후대 사림에 큰 영향

 

 

 

정암 조광조(사림 개혁의 상징, 기묘사화의 희생자)

ㆍ 중종반정(1506) 이후 등용된 사림파 중심의 개혁 정치가

현량과 실시(도덕성과 학문을 기준으로 인재 등용)

소격서 폐지 주장(유교적 왕도 정치 확립 시도)

위훈 삭제 운동 전개(훈구 세력 권위 약화 시도)

ㆍ 향약시행, 도학 정치 추구

ㆍ 급진 개혁으로 훈구파의 반발 > 기묘사화(1519)로 숙청

 

 

윤임(조선 중기 무신이자 인종의 외척, 을사사화 피해자)

ㆍ 인종의 외삼촌이자 대윤 세력의 우두머리

ㆍ 명종 즉위 후 외척간 권력투쟁(대윤 vs 소윤) 발생

ㆍ 소윤의 수장인 윤원형과 갈등으로 을사사화(1545) 발생 > 유배 후 숙청

 

 

 

 

윤원형(조선 중기 문신이자 명종의 외척, 을사사화 주도자)

ㆍ 문정왕후의 남동생, 명종의 외삼촌이자 소윤 세력의 우두머리 

ㆍ 명종 즉위 후 외척간 권력투쟁(대윤 vs 소윤) 발생

을사사화(1545)를 일으켜 대윤 세력 숙청 후 권력 장악

ㆍ 척신 정치 폐단의 상징적 인물

 

 

 

주세붕(최초의 서원 건립, 사림 교육 기반 마련한 문신이자 학자)

ㆍ 1543년, 백운동서원 건립(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 소수서원으로 사액

ㆍ 사림의 교육 기반 마련, 성리학 확산에 기여

 

 

 

 

 

퇴계 이황(조선 성리학의 대가)

'이'를 중심으로 이기이원론, 주리론 주장 ↔ (이이의 '기'중심과 대비)

ㆍ 도산서원 설립(지방 사림 교육 활성화), 백운동서원의 사액을 조정에 건의

영남학파의 기반 확립

성학십도》,퇴계집》등 저술

ㆍ 선조에게 이상 정치 실현을 위한 성리학 정책 제안

 

 

율곡 이이(현실 개혁 성리학자)

ㆍ 강릉 오죽헌에서 출생(어머니는 신사임당으로 유명)

ㆍ 이기이원론 중 '기' 중심의 이론 주장

     이기론 > 기발이승일도설  (이황의 '이'중심과 대비)

ㆍ 선조에게 성리학적 군주의 도리 강조

ㆍ 임진왜란 대비 십만양병설 주장(현실 인식과 대비책 제시)

ㆍ 서원 철폐 주장(붕당의 폐해와 사림 분열 비판)

ㆍ 서인의 사상적 기반 형성(기호학파)

ㆍ《동호문답》,《격몽요결》,《성학집요》등 저술 

 

 

류성룡(징비록의 저자, 임진왜란 시 명재상)

ㆍ 이이의 십만양병설 지지, 훈련도감 설치

ㆍ 임진왜란 발발 후 이순신, 권율 등 명장 천거하여 등용

ㆍ 의병, 수군, 명나라 파병 등 전시 행정 총괄

ㆍ 전란 중 선조와의 갈등으로 실각

ㆍ 전란 후징비록저술

 

 

 

충무공 이순신(임진왜란의 영웅, 수군의 총사령관)

ㆍ 전라좌수로 재직 중 임진왜란(1592) 발발 

옥포해선에서의 첫 승을 시작으로 연전연승

거북선(판옥선)을 주력으로 사용

한산도 대첩(1592)에서 학익진 전술로 일본 수군 격파

ㆍ 정유재란 때 원균의 패전(칠천량 해전)으로 삼도수군통제사로 복귀

명량대첩(1597)에서 12척으로 대승

노량해전(1598) 중 전사

 

※ 권율(행주대첩의 영웅, 육지전의 핵심)

ㆍ 이치, 금산 전투 승리(1592년),  행주대첩에서 대승(1593)

※ 김시민(진주대첩의 영웅, 임진왜란 육군 명장)

ㆍ 1차 진주대첩(1592) 승리 후 전사

※ 곽재우(임진왜란 최초의 의병장, 홍의장군)

ㆍ 유생 출신으로 나라가 위기에 빠지자 스스로 의병 조직

ㆍ 1차 진주대첩 때 휘하의 의벼을  보내 전투 승리에 가담

임진왜란 후 벼슬을 사양하고 은거

 

 

허준(조선 중기의 명의)

ㆍ 중인 출신의 조선 중기(선조~광해군) 시기의 왕의 주치의

ㆍ 임진왜란 중 백성 치료와 의서 편찬

ㆍ 1608년 광해군의 지원으로동의도감편찬

     (중국, 일본, 유럽에 전파)

ㆍ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송시열(주자학 보수파의 대표자, 노론의 영수)

ㆍ 서인, 노론의 영수로 조선 후기 성리학 보수주의의 상징

ㆍ 효종의 북벌론 지지

예송논쟁(기해, 갑인예송)의 주도 인물

예송논쟁으로 왕과 갈등 > 숙종 때 기사환국으로 사약 받고 사망

 

 

 

정제두(조선 후기 양명학자이자 강화학파의 창시자)

ㆍ 조선 후기 양명학자

강화학파 형성

ㆍ 실천을 중시한 심즉리 사상 강조(성리학 비판)

ㆍ 실학 사상에 영향

 

 

 

<조선 후기 실학자 인물 정리>

중농학파(토지 개혁론 주장) 

유형원 : 균전론(토지 균등 분배), 노비 제도 비판,《반계수록》등 저술

이익 : 한전론(토지 소유 상한제), 《성호사설》, 《성호문집》, 《곽우록》 등 저술

정약용 : 여전론(공동 농장 제도),  거중기 제작(수원화성 건설),《목민심서》,《흠흠신서》,《경세유표》등 저술 

중상학파(상공업 진흥 주장)
유수원 : 농업의 상업적 경영과 기술 혁신 주장,《우서》등 저술
홍대용 : 지전설 주장, 중국 중심의 세계관 비판,의산문답,임하경륜등 저술
박지원 : 수레, 선박, 화폐 유통의 필요성 주장,《열하일기》,《양반전》,《허생전》등 저술
박제가 : 우물론(절약보다 소비 권장), 규장각 검서관으로 활동,《북학의》등 저술

 

 

단원 김홍도(조선 후기 풍속화의 대가)

ㆍ 정조 시기 도화서 화원

ㆍ 정조의 어진 제작

ㆍ 백성들의 일상과 생업을 사실적이고 해학적으로 묘사

ㆍ 대표작으로 '씨름', '서당', '무동', '타작' 등

     풍속화와 인물화, 산수화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작품 제작 

     

김홍도의 주요 작품들

 

 

다산 정약용(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사상가)

ㆍ 정조의 개혁 정치에 참여

ㆍ 규장각 검서관으로 활동

ㆍ 수원 화성 건설을 위한 거중기 설계

ㆍ 신유박해로 강진에 18년간 유배

《목민심서》,《흠흠신서》,《경세유표》등 저술

여전론(토지 공동 농장 제도) 주장

 

 

추사 김정희(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금석학자)

'추사체' 창안

ㆍ 용방강, 왕원 등의 청학자들과 교류

ㆍ 제주도 유배 생활 중세한도그림

ㆍ 금석학 발전에 기여

금석과안록》저술

    ※ 북한산비(진흥왕 순수비)를 고증하여     신라사 연구의 전환점 마련

 

면암 최익현(조선 후기 성리학자이자 위정척사파)

ㆍ 흥선 대원군 하야 상소 > 고종의 친정 시작 계기

ㆍ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왜양일체론' 주장

ㆍ 을사늑약 체결에 반발하여 의병을 일으킴 >

     일본에 체포, 대마도에 유배 후 순국

면암집등 저술

 

 

 

최제우(동학의 창시자)

ㆍ 민간신앙을 바탕으로 인내천 사상 제시

ㆍ 서학(천주교)에 대응해 동학 전파

ㆍ 하층 농민과 서민의 정신적 지주로 부상

ㆍ 동학을 사교로 규정하고 혹세무민의 죄목으로 처형

ㆍ 이후 최시형, 손병희에 의해 계승

 

 

 

박규수(조선 후기 외교관이자 개화사상가)

ㆍ 실학자 박지원의 손자

ㆍ 북학파 실학의 영향을 받아 개화사상 수용

ㆍ 평안감사 시절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우고 침몰시킴

ㆍ 초기 개화파 인물들의 사상적 스승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ㆍ 온건 개화사상의 선구자

 

 

 

근대 / 일제강점기 인물 정리

 

 

김홍집(1842~1896)

ㆍ 온건 개화파

ㆍ 2차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와조선책략유포

ㆍ 통리기무아문에서 개화 정책 추진

ㆍ 갑오개혁 주도(갑오개혁 총 책임자) 
ㆍ 조선 최초 내각 총리대신

ㆍ 홍범 14조 반포(과거제 폐지, 신분제 철폐 등)

 

 

김옥균(1851~1894)

ㆍ 급진 개화파

ㆍ 개화당 조직

갑신정변 주도(실패 후 일본에 망명)

ㆍ 중국 상하이에서 홍종우에게 암살

 

 

 

 

박영효(1861~1939)

ㆍ 철종의 부마(사위)

ㆍ 일본 3차 수신사 수행 중 태극기 도안 제작

ㆍ 박문국 설립 주도

ㆍ 김옥균과 함께 갑신정변 주도(실패 후 일본에 망명)

ㆍ 귀국 후 김홍집 내각 내부대신 임명
ㆍ 2차 갑오개혁 참여

ㆍ 친일단체 신궁봉경회 총재 선임

ㆍ 강제병합 후 후작 작위 수훈

ㆍ 조선인 최초 일본 제국의회 칙선의원 임명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등재

 

 

서재필(1864~1951)

ㆍ 급진 개화파

ㆍ 김옥균과 함께 갑신정변 주도

     (실패 후 미국에 망명, 의자이자 시민권자)

ㆍ 귀국 후 중추원 고문에 임명

독립신문 창간(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 순한글/영문으로 간행)

독립협회 설립(독립문 건립)

ㆍ 만민공동회 주도

ㆍ 황궁협회 등 보수 세력의 반발로 다시 미국 망명

ㆍ 광복 후 귀국하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활동

 

 

홍영식(1855~1884)

ㆍ 급진 개화파

ㆍ 통리기무아문 근무, 개화 정책 추진

ㆍ 우정총국 설치 주도(근대 우편제도 도입)

ㆍ 김옥균, 박영효, 서재핑 등과 함께 갑신정변 주도

ㆍ 실패 후 고종을 호휘하다가 청군에게 피살

 

 

 

유길준(1855~1884)

ㆍ 온건 개화파

ㆍ 조사시찰단으로 일본에 파견

ㆍ 갑오개혁 당시 김홍집 내각에서 활동

ㆍ 을미개혁 때 단발령 주도

ㆍ 일제강점기 직전 한일병합에 협력

 

 

 

손병희(1861~1922)

ㆍ 동학 3대 교주,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

ㆍ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북접 지휘

ㆍ 천도교 대표로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

ㆍ 독립선언서 초안에 참여, 비폭력 평화적 만세 운동 지향

 

 

 

 

이상재(1850~1927)

ㆍ 갑오개혁에 참여

ㆍ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활동

ㆍ 조선교육협회 창립

ㆍ 신민회, 대한자강회 등 계몽단체 활동

민립대학 설립 운동

ㆍ 신간회 초대 회장 역임

 

 

백암 박은식(1859~1925)

ㆍ 독립협회 가입, 황성신문 창간 및 보급

ㆍ 신민회 회원

ㆍ 1915년 신한혁명당 조직(유동열, 박은식, 신규식, 이상설)

ㆍ 1919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2대 대통령 취임

ㆍ 한국독립운동지혈사, 한국통사, 유교 구신론 등 저술

 

 

 

보재 이상설(1870~1917)

ㆍ 북간도에 서전서숙 설립

헤이그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로 파견

ㆍ 연해주에 권업회 조직,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 주도

     (최초의 망명 정부, 정통령에 취임)

13도의군, 성명회 조직

 

 

 

이동녕(1869~1940)

ㆍ 북간도에 서전서숙 설립

안창호, 양기탁 등과 신민회 조직

ㆍ 경학사와 신흥 강습소 설립 주도

권업회 조직

한국 독립당 창당

 

 

 

우당 이회영(1867~1932)

ㆍ 신민회 회원

ㆍ 전 재산 처분 후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고 서간도로 이주

서간도 삼원보에 경학사 조직, 신흥 강습소 설립

 

 

 

 

 

성재 이시영(1869~1953)

ㆍ 신민회 회원

ㆍ 형 이회영과 함께 재산 처분 후 가족과 서간도로 이주

ㆍ 경학사와 신흥 강습소 설립

ㆍ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 의원

ㆍ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양기탁(1871~1938)

영국인 베델과 함께 '대한매일신보' 창간 주도

ㆍ 1907년 신민회 창립 주도(안창호, 이동녕, 이승훈 등과 함께 조직)

ㆍ 국채보상운동 지원

ㆍ 정의부 조직에 참여

ㆍ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 의원

 

 

 

백범 김구(1876~1949)

ㆍ 본명 김창수

1919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초대 경무 국장에 취임

ㆍ 1931년 상하이에서 한인 애국단 조직

ㆍ 1935년 한국 국민당 창당

ㆍ 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 대한민국 임시 정부 주석에 취임

ㆍ 1948년 남북 협상 주도 후 1949년 피살

 

 

여운형(1886~1947)

신한 청년당 결성

ㆍ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참여

ㆍ 조선 건국 동맹 조직 > 조선 건국 위원회로 개편(건준위)

ㆍ 조선 인민당 결성

좌.우 합작 위원회 조직(좌우 합작 운동 주도)

 

 


조소앙(1887~1958)

ㆍ 독립운동가, 정치사상가, 외교관

ㆍ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장 역임

ㆍ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건국강령 기초(삼균주의)

ㆍ1917년 대동단결 선언 참여

ㆍ1919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원 비서장

ㆍ1930년 김구, 안창호, 조소앙, 지청천 등과 함께 한국 독립당 창당

 

 

주시경(1876~1914)

ㆍ 근대 국어학의 선구자, 한글 연구, 보급 운동의 핵심 인물

ㆍ 1907년 대한문법 발표

ㆍ 국어연구 학술단체 '국어연구학회' 조직

 국문 연구소에서 국문 연구(최초의 한글 연구 기관)

ㆍ《국어문법》,《국어문전음학》,《말의 소리》 등 저술 

ㆍ 최현배, 이윤재 등 제자 양성

 


도산 안창호(1878~1938)

ㆍ 독립협회 가입

신민회 조직, 평양에 대성 학교 설립

ㆍ 서북학회 조직

ㆍ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 조직

ㆍ 청년학우회 결성 주도

ㆍ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 >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리 

이갑, 양기탁, 이동녕, 이동휘 등과 함께 신민회 조직

ㆍ 민족유일당운동 실패 후 상하이에서 한국 독립당 결성

 

 
단재 신채호(1880~1936)

ㆍ 민족주의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

ㆍ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등에서 언론 활동

ㆍ 1907년 신민회 활동(안창호, 양기탁, 이동녕, 이갑 등)

ㆍ 1923년 의열단 김원봉의 부탁을 받고 '조선혁명선언' 발표

조선상고사》,을지문덕전 등 위인전 저술

 

 


도마 안중근(1879~1910)

ㆍ 1907년 국채보상운동 참여

ㆍ 1909년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 저격 > 뤼순 감옥에서 순국

ㆍ 옥중동양평화론집필

 

 

 

 

 

백산 지청천(1888~1957)

ㆍ 1908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교

ㆍ 1919년 3.1운동 이후 만주로 망명해서 신흥무관학교에서 독립군 양성

ㆍ1920년 서로군정서의 간부로 무장 독립운동 참여

ㆍ1930년 한국 독립당 창당에 참여, 한국 독립군 총사령관

ㆍ1932년 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참여(지청천, 한중연합군 + 한국독립군) 

ㆍ1940년 한국 광복군 창설 > 총사령관 취임

 

 

홍범도(1868~1943)

ㆍ 조선 말기 무관 출신의 무장 독립운동가

ㆍ 대한제국 군대 해산 후 의병장으로 활약(평민 출신 지휘관)

ㆍ 3.1운동 이후 만주와 연해주로 이동 > 독립군 부대 편성

ㆍ 대한 독립군 결성(대한 독립군 총사령관)

 1920년 봉오동 전투(독립군 첫 승리),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

 

 

 

백야 김좌진(1889~1930)

ㆍ 1919년 북로 군정서를 조직(총사령관에 임명)

ㆍ 1920년 청산리 전투 승리

ㆍ 1925년 신민부 창설에 참여

 

 

 

 

 

장지연(1864~1921)

ㆍ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언론인

 황성신문 주필로 활동하며 언론을 통한 민족 계몽운동 전개

ㆍ 을사늑약 체결 이후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대한자강회, 신민회 등에 참여하여 교육과 산업 진흥 운동 전개

 

 

 

 

남자현(1872~1933)

ㆍ 독립군의 어머니로 불림

ㆍ 서로 군정서에서 활동

ㆍ 간도에서 여자 '권학회' 조직

조선 총독 암살 시도

ㆍ국제 연맹 조사단에 혈서 보냄

 

 

 

 

만해 한용운(1879~1944)

ㆍ 승려이자 시인, 독립운동가

ㆍ 불교계 대표로 3.1운동 민족 대표 33인 중 한 명

ㆍ 일제 불교 통제에 맞서 조선 불교의 자주성 주장

대표 시집님의 침묵발표

 

 

 

김마리아(1892~1944)

ㆍ 2.8 독립 선언 참여

ㆍ 원산 마르다 윌슨 신학교 교사로 근무

ㆍ 대한민국 애국 부인회 회장

ㆍ 대한민국 임시 정부 황해도 대의원 역임

ㆍ 미국 한인 여성 독립운동 단체인 '근화회' 조직

 

 


나석주(1901~1932)

ㆍ 국내 항일 비밀 결사 조직(군자금 모금) 

ㆍ 의열단 소속 무장 독립운동가

조선 식산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 투척

 

 

 

 

 

양세봉(1896~1934)

ㆍ 1929년 조선 혁명군 참여

ㆍ 1932년 조선 혁명군 총사령관에 취임

     한중연합군으로 영릉가 전투에서 승리

ㆍ 1933년 흥경성 전투에서 승리

 

 

 

 

약산 김원봉(1898~1958)

ㆍ 1919년 만주 지린성에서 의열단 조직

ㆍ 1926년 황푸군관학교 입교

ㆍ 1928년 의열단 해체

ㆍ 1935년 조선 민족 혁명당 조직(의열단 중심)

ㆍ 1938년 조선 의용대 결성(중국 관내 최초 한인 무장 부대)

ㆍ 1942년 조선의용대 개편(김원봉+조선의용대 일부 > 한국 광복군 합류(부사령관)

     , 나머지 조선의용군으로 개편)

 

 

박차정(1910~1944)

ㆍ 일제강점기 여성 독립운동가

ㆍ 근우회 가입

ㆍ 의열단 가입

남편 김원봉과 함께 조선의용대 및 조선의용군 활동

ㆍ 여성 독립군 훈련과 선전 활동 담당

 

 

 

권기옥(1903~1988)

ㆍ 송죽회에 가입하여 활동

ㆍ 3.1운동에 참여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연락원으로 활동

ㆍ 의열단 가입 > 무장 독립 운동 참여

ㆍ 중국 원난 육군항공 학교 입학 > 비행사 자격 취득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

 

 

 

소파 방정환(1899~1931)

ㆍ 아동 인권 운동가이자 아동문학의 선구자

ㆍ 천도교 기반의 소년회를 조직하여 소년 운동 전개

ㆍ 1923년 '어린이날' 제정

ㆍ 색동회 결성

잡지어린이발행

 

 

 

이봉창(1901~1932)

ㆍ 재일 조선인 노동자 출신

ㆍ 한인애국단 단원

1932년 1월 8일 도쿄에서 일왕(히로히토) 마차를 향해 폭탄 투척 > 실패

 

 

 

 

 

윤봉길(1908~1932)

ㆍ 한인애국단 단원

중국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폭탄 투척

 

 

 

 

 

 

이육사(1904~1944)

ㆍ 경북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저항시인

ㆍ 본명 이원록으로 이육사는 수감번호 265에서 따옴

ㆍ 일제강점기 의열단 활동

ㆍ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베이징 감옥에서 옥사

ㆍ 대표 작품으로 '청포도', '광야', 절정' 등이 있음 

 

 

 

윤동주(1917~1945)

ㆍ 명동 학교 출신, 일제강점기 대표 항일 민족 시인

ㆍ 연희전문학교 재학 중 '서시', '참회록', '별 헤는 밤' 등 창작

ㆍ 일본 유학 중 항일 사상 혐의로 체포, 후쿠오카 형무소 수감되어 옥사

ㆍ 대표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사후 출간

ㆍ 시를 통해 민족의 아픔과 저항정신을 표현한 저항 문학의 상징

 

 


장준하(1915~1975)

ㆍ 학도병에 강제 징집 > 탈주하여 한국 광복군에 입대

ㆍ 조선 민족 청년단 활동

ㆍ 광복 후 잡지사상계창간

     (막사이사이 언론상 수상)

ㆍ 박정희 유신체제 강력히 반대, 유신헌법 철폐 운동 주도

 

 


 

현대 인물 정리

 

 

전태일(1948~1970)

ㆍ 서울 평화시장 봉제공장 재단사

ㆍ 열악한 노동 환경에 문제를 인식하고 '바보회' 조직

     (노동자 권익 향상 시도)

근로기준법 준수를 외치며 분신자살 > 한국 노동 운동의 시작점

 

 

 

 

박종철(1965~1987)

ㆍ 서울대 언어학과 재학생으로 민주화운동 참여

ㆍ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치사 > 정부 은폐 시도

     “책상을 탁! 치니까 ! 하고 죽었다.”

ㆍ 언론 폭로와 국민 저항으로 진실이 드러나며 민주화 시위 격화

6월 민주항쟁의 직접적인 기폭제가 됨

ㆍ 국가 폭력에 저항한 대학생의 상징으로 기억

 

 

인물사 정리 완료.

※ 이미지 및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우리역사넷 / 전통문화포털 / 국가문화유산포털 / 공유마당

인물사 기출문제 모음 및 정답&해설 총정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