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짧은상식

짧은상식 : 십이간지와 육십갑자 계산법

by 박또니 2019. 8. 13.
반응형

 

 

"똘기, 떵이, 호치, 새초미, 자축인묘! 드라고, 요롱이, 마초, 미미, 진사오미! 뭉치, 키키, 강다리, 찡찡이, 신유술해! 우리끼리 꾸러 꾸러기 우리들은 열두 동물 열두 간지 꾸러기 수비대!" 어렸을 적 아주 쉽게 십이지를 외울 수 있게 해 준 꾸러기 수비대라는 만화의 주제곡이다. 사극을 보다 보면 "술시에 동주골 주막에서 보세!"와 같은 대사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데 십이지를 알게 된다면 술시란 오후 7시에서 9시 사이를 말하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십이지는 시간 말고도 오행과 결합하여 길흉을 점칠 수 있는 사주팔자에도 활용되기도 하며, 평범한 사람들은 십이지를 알고 있으면 나보다 어리거나 나이 많은 사람들의 띠를 쉽게 알아낼 수도 있게 된다.

 

십이지(十二支)(Chinese Zodiac)란?

지지(地支)라고도 불리는 십이지는 중국 북방민족이 춘추전국시대 이전부터 계절을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했다는 설이 유력하게 전해진다. 고대 서양에서는 황도 12궁에 생활 모습과 그리스 로마 신화의 영웅이 이름을 따서 별자리 이름을 마련했는데, 동양에서는 영험한 동물을 각 별자리에 적용하여 십이지신을 만들었다고 한다. 또한, 십이지신은 12방위를 나타내는 신으로서 얼굴은 동물, 몸은 사람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옛사람들은 십이지신이 세상 모든 잡귀를 몰아낸다고 믿어 탑이나 무덤에 조각해두었는데 한반도에서는 대표적으로 통일신라의 김유신묘 둘레돌에 새겨진 12지신이 있다.

 

십이지. 각 방위와 해를 뜻하는 열두 동물.

 

 

이 동물들의 순서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재밌는 설이 전해지고 있는데 하루 중 그 시간에 대표적으로 활동하는 동물을 표시했다거나, 동물의 발가락 수로 순서를 정했다거나 옥황상제가 12 동물을 모아 달리기 시합을 벌여 결승점에 먼저 도착한 순서대로 각 해의 이름을 붙였다거나 하는 신화적인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지지(땅) = 십이지 = '줄기에서 갈라져 나온 열두개의 가지'

십이지 순서

동물

음양

오행

계절

시간

겨울

11월

23~01

겨울

12월

01~03

호랑이

1월

03~05

토끼

2월

05~07

3월

07~09

여름

4월

09~11

여름

5월

11~13

여름

6월

13~15

원숭이

가을

7월

15~17

가을

8월

17~19

가을

9월

19~21

돼지

겨울

10월

21~23

* 오행의 색상 : 목(파랑), 화(빨강), 토(노랑), 금(하얀), 수(검정)

 

나보다 연상의 띠가 궁금할 경우 내띠의 이전 띠를 , 나보다 연하의 띠가 궁금할 경우 내 띠 다음의 띠를 확인하면 된다. ex) 내가 2000년생일 경우 내 띠는 용띠이므로 연상은 토끼띠이고, 연하는 뱀띠가 된다.

 

 

 

십간(十干)이란?

천간(天干)이라고도 불리며 옛 중국에서 유래하여 한자문화권에 전래된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총 10종류의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 체계이다. 각 숫자에는 정해진 오행 색이 있고, 과거 연도와 날짜 등의 시간 표시에 두루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도 순서를 나타내는 용법이 관용적으로 남아 있다. 참고로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해 '간지(십간십이지)'라고 불리는 '육십갑자'를 만들어낼 수 있다. 육십갑자를 나타내는 오행의 대표 색상은 십간에 의해서 정해진다.

 

천간(하늘) = 십간 = '열개의 줄기'

 
년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0년 1년 2년 3년
십간
오행 파랑 파랑 빨강 빨강 노랑 노랑 하얀 하얀 검정 검정

※ 년도는 서기년의 일의 숫자의 년도를 말하는 것으로 십간을 통해 서기년의 일의 자리 숫자를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을미사변'은 5년으로 끝나며, '갑신정변'은 4년으로 끝나고, '무오사화'는 8년으로 끝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육십갑자

동양에서는 육십갑자를 이용해 연도나 날짜를 표시하는데 두루 사용했고 현대에도 해를 나타내거나, 관습적으로 순서를 나타내는 용법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육십갑자는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의 십간(천간)과 위에 나와 있는 십이지(지지)를 결합하여 얻을 수 있는 60개의 간지를 말한다.

 

 

* 아래 표에 나와있는 숫자는 단순히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숫자일 뿐입니다.

갑자
1 / 甲子

을축
2 / 乙丑

병인
3 / 丙寅

정묘
4 / 丁卯

무진
5 / 戊辰

기사
6 / 己巳

경오
7 / 庚午

신미
8 / 辛未

임신
9 / 壬申

계유
10 / 癸酉

갑술
11 / 甲戌

을해
12 / 乙亥

 병자
13 / 丙子

정축
14 / 丁丑

무인
15 / 戊寅

기묘
16 / 己卯

경진
17 / 庚辰

신사
18 / 辛巳

임오
19 / 壬午

계미
20 / 癸未

갑신
21 / 甲申

을유
22 / 乙酉

병술
23 / 丙戌

정해
24 / 丁亥

무자
25 / 戊子

기축
26 / 己丑

경인
27 / 庚寅

신묘
28 / 辛卯

임진
29 / 壬辰

계사
30 / 癸巳

갑오
31 / 甲午

을미
32 / 乙未

병신
33 / 丙申

정유
34 / 丁酉

무술
35 / 戊戌

기해
36 / 己亥

경자
37 / 庚子

신축
38 / 辛丑

임인
39 / 壬寅

계묘
40 / 癸卯

갑진
41 / 甲辰

을사
42 / 乙巳

병오
43 / 丙午

정미
44 / 丁未

무신
45 / 戊申

기유
46 / 己酉

경술
47 / 庚戌

신해
48 / 辛亥

임자
49 / 壬子

계축
50 / 癸丑

갑인
51 / 甲寅

을묘
52 / 乙卯

병진
53 / 丙辰

정사
54 / 丁巳

무오
55 / 戊午

기미
56 / 己未

경신
57 / 庚申

신유
58 / 辛酉

임술
59 / 壬戌

계해
60 / 癸亥

 

 

 

 

십간과 십이지는 각 10년과 12년마다 순환하며, 두 숫자의 최소공배수는 60이 되므로 간지는 60년마다 돌아오게 되다. 그래서 만으로 60세의 생일이 되는 해를 자신과 같은 해(갑자)로 돌아온다고 해서 한국 나이 61세를 환갑 또는 회갑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즉, 육십갑자를 한 바퀴 돌았다는 것이다. 여전히 우리 생활 속에서는 육십갑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육십갑자를 계산하는 법을 알게 되면 갑신정변(1884년) 하나만 외워도 을미사변(1855년) 일을 알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병신년 빨간 원숭이 해'처럼 원하는 년도의 띠와 색상까지도 쉽게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육십갑자 계산하는법

육십갑자는 서기 4년을 기준으로 한다. 그래서 십간(천간)은 순서대로 갑[4], 을[5], 병[6], 정[7], 무[8], 기[9], 경[0], 신[1], 임[2], 계[3]가 되고, 십이지(지지)는 자[4], 축[5], 인[6], 묘[7], 진[8], 사[9], 오[10], 미[11], 신[0], 유[1], 술[2], 해[3] 이 된다. 육십갑자로 변환할 때 십간은 년도의 맨 마지막 숫자를, 십이지는 년도를 12로 나눠서 나온 나머지 값을 대입하면 된다.

 

예를 들어 2020년을 60갑자로 나타낸다면 십간은 [0]이므로 '경', 십이지는 2020/12의 나머지 값은 [4] 이므로 '자'를 대입하면 2020년은 경자년이 된다. 또한, '경'은 오행으로 흰색을 '자'는 쥐를 뜻하므로 2020년은 '경자년 흰쥐 띠 해'임을 알 수 있다. 반대로 2016년이 병신년인 것을 알고 있으면 경자년은 끝이 0으로 끝나는 해임으로, 2020년임을 기산 해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